
SKY GROUNDS
SINSA-DONG OFFICE COMPLEX
못생긴 땅
도심 주거 밀집지역, 사다리꼴 비정형 5각형 대지, 업무시설로서 작은 면적의 땅(282㎡), 사선제한(정북일조사선제한,도로사선제한), 좁은 진입로(3m폭)로 인한 도로 공제와 주차 및 진입의 문제 등 주택 이외의
프로그램 수용이 쉽지 않은 땅이다.
고급 주거지역 내 저급한 주거환경
서울을 대표하는 쇼핑가인 인근 가로수길의 소규모 질적개발의 주변 확산에도 불구하고, 현 주거지역의
도시계획과 건축 현황은 상대적으로 저급하고 더딘 편이다. 좁고 불규칙적 도로 선형과 대지형태, 오르는 땅값과 더이상 개발되지 않는 주택들과 정체를 알 수 없는 주거유형, 주차문제, 어색한 스카이라인 등 여느 도시의 죽어가는 원도심의 모습과도 흡사한 맥락속에서 본 대지는 주택으로 둘러 싸여있다.
제한적 개발 여건
법적제약: 두면의 정북일조 사선제한과 두면의 도로사선 제한, 도로 공제면적과 주차장 확보의 어려움
공사비의 한계: 면적에 대한 건축주의 막연한 욕심과 공사비의 한계, 그로 인한 기술의 한계
어려운 시공현장: 인접 주택들의 민원, 3m폭의 좁은 도로
새로운 대안적, 주거, 상업, 업무 복합 공간
여러 앞선 전제조건을 해결하는 현실적 방안으로 본 프로젝트는 크게 3개의 방향성으로 축약 된다: 극단성, 복합성, 연계성
극단성: 최소한의 시공비와 최대한의 공간 확보. 최대의 개폐와 최소의 개폐. 단순함과 복잡함. 거칠며 정갈한 표현. 법적제약의 반전(층별 외부 공간 확보). 깊은 지하공간(6m천고)
복합성: 업무, 주거, 상업 복합 계획
연계성: 과 하늘의 수직적 연계성과 주변 맥락의 수평적 연계. 주 용도가 업무 시설임으로 저층부(3층이하)는 콘크리트 더블스킨을 설치하여 이웃과는 수평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콘크리트와 창호 스킨 사이의 공간을 활용한 하늘과의 수직적 연계(빛, 바람, 비 관통), 대안부가 없는 상층부(4~6층)는 최대한 오픈하여 원경과 수평적 연결이 되도록 하고 사선제한으로 상충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바닥면의 외부공간은 수직적으로 연계되도록 계획한다. 프로그램적 연계성은 하층부부터 상업, 업무, 주거 순으로 연계 혹은 단절이 된다.
위치
서울특별시
대지면적
273 ㎡
진행기간
2013-2015
건축면적
155.39 ㎡
구분
완공
연면적
664.36 ㎡
용도
근린생활시설
업무시설
공동수임
A-point 건축사사무소
이주형 건축사, KIRA
규모
B1, 6F













